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리눅스(CentOS)41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ifconfig, ip, netplan, nmcli 등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각 방법에 대한 예제를 제공하겠습니다.1. ifconfig 명령어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 오래된 도구입니다. 최신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ip 명령어로 대체되었지만, 여전히 일부 시스템에서는 유용하게 사용됩니다.1.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확인ifconfig1.2 특정 인터페이스 정보 확인ifconfig eth01.3 IP 주소 설정sudo ifconfig eth0 192.168.1.100 netmask 255.255.255.01.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활성화 및 비활성화sudo .. 2025. 4. 3.
리눅스 디스크 용량 관리 (df, du, lsof, fstab 설정)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서버 운영과 유지보수에서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df, du, lsof, fstab 등의 명령어를 활용하여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df 명령어: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1.1 기본 사용법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별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df -h출력 예제: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dev/sda1 100G 30G 70G 30% /tmpfs 2.0G 1.0M 2.0G 1% /rundevtmpfs 1.9G 0 1.9G 0% /dev1.2 특정 디렉터리의 디스크.. 2025. 4. 2.
리눅스에서 파티션 관리하기: fdisk, parted, mkfs, mount 리눅스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하려면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설정한 후, 마운트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fdisk, parted, mkfs, mount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1. 저장장치 확인하기먼저 현재 연결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lsblk또는fdisk -l출력 예시:Disk /dev/sda: 500 GiB, 536870912000 bytes, 1048576000 sectorsDisk /dev/sdb: 100 GiB, 107374182400 bytes, 209715200 sectors여기서 /dev/sdb가 새롭게 추가된 디스크라고 가정합니다.2. fdisk로 MBR 파티션 생성하기fdisk를 사용하여 /dev/sdb에 새로운 파티션을 만듭니다.su.. 2025. 4. 2.
리눅스에서 crontab을 이용한 작업 스케줄링 리눅스에서 정기적으로 특정 작업을 실행하려면 cron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cron은 스케줄링된 작업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며, 개별 사용자는 crontab(cron table)을 통해 자신의 작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rontab의 사용법과 예제를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1. crontab 개요crontab은 사용자의 스케줄링된 작업 목록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특정 시간에 자동으로 실행되는 작업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crontab 명령어crontab -l : 현재 사용자의 crontab 목록을 출력합니다.crontab -e : 현재 사용자의 crontab을 편집합니다.crontab -r : 현재 사용자의 crontab을 삭제합니다.crontab -u 사용자명 -l .. 2025. 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