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리눅스 서버 관리할 때 진짜 자주 쓰는 SSH 관련 기능들 — ssh, scp, ssh-keygen — 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해요.
개인적으로는 서버에 접속하거나 파일 전송할 때 거의 매일 쓰는 도구들이라서, 헷갈릴 수 있는 부분까지 예제랑 같이 꼼꼼하게 설명해볼게요!
✨ 먼저, SSH가 뭔가요?
간단하게 말하면,
SSH(Secure Shell) = 원격으로 안전하게 리눅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
이라고 생각하면 돼요.
일반적으로는 포트 번호 22번을 사용하고, 암호화된 통신이라 보안도 괜찮습니다.
🔧 1. SSH 서버 설치하기 (Ubuntu 기준)
리눅스 서버에 SSH 서버가 안 깔려 있으면 접속 자체가 안 되겠죠?
1️⃣ 설치 확인
만약 "Unit ssh.service could not be found" 이런 메시지가 뜬다면? 아직 안 깔린 거예요.
2️⃣ 설치
3️⃣ 실행 & 자동 시작 설정
4️⃣ 방화벽 설정 (UFW 사용하는 경우)
이제 SSH 서버는 준비 완료입니다!
💻 2. ssh 명령어로 서버에 접속하기
기본 형식
예시
처음 접속할 때는 yes 한 번 눌러주고 비밀번호 입력하면 끝이에요!
🔐 3. ssh-keygen으로 비밀번호 없이 접속하기
매번 비밀번호 입력하기 귀찮다면?
SSH 키 인증을 설정해두면 접속이 훨씬 편해져요.
1️⃣ 로컬에서 키 생성
엔터 몇 번 눌러주면 기본 경로 ~/.ssh/id_rsa에 키가 생성돼요.
2️⃣ 서버로 공개키 전송
예를 들면:
3️⃣ 이제 비밀번호 없이 바로 접속 가능!
한 번 설정해두면 엄청 편해요.
📂 4. scp로 파일 주고받기
scp는 SSH 기반 파일 복사 도구예요.
로컬 ↔ 원격 간에 파일을 쉽게 주고받을 수 있어요.
✅ 로컬 → 서버로 복사
✅ 서버 → 로컬로 다운로드
✅ 폴더 통째로 복사 (재귀 옵션)
🛠️ 5. 자주 쓰는 서버는 .ssh/config에 등록해두기
자주 접속하는 서버가 있다면 매번 IP랑 사용자명 치는 거 귀찮잖아요?
이럴 땐 .ssh/config 파일을 써보세요.
이제는 이렇게만 접속해도 돼요:
📌 보너스: 포트 바꾸는 법
보안을 위해 SSH 포트를 22에서 다른 걸로 바꾸고 싶다면, 서버에서 설정 파일을 수정하면 돼요.
수정 후 재시작:
접속 시엔 이렇게 포트 지정해줘야 해요:
✅ 마무리 요약
ssh | 원격 서버 접속 |
scp | 안전한 파일 전송 |
ssh-keygen | 공개/개인 키 생성 |
ssh-copy-id | 공개 키를 서버로 전송 |
.ssh/config | 접속 정보 저장해서 편하게 사용 |
지금까지 리눅스에서 SSH를 사용하는 기본적인 방법부터 실전 꿀팁까지 정리해봤어요 😊
처음엔 살짝 헷갈릴 수 있지만, 몇 번 해보면 몸에 익고 나중엔 없어선 안 될 도구가 될 거예요.
궁금한 거나 더 알고 싶은 내용 있으면 댓글이나 DM 주세요!
그럼 다음에 또 유용한 리눅스 꿀팁으로 찾아올게요 🙌
원하면 이 포스팅을 마크다운이나 HTML로 내보낼 수도 있어요. 블로그 플랫폼에 맞춰 포맷 바꿔드릴까?
'운영체제 > 리눅스(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리눅스 보안 모듈 기초: SELinux와 AppArmor (0) | 2025.04.08 |
---|---|
리눅스 방화벽 설정 완벽 가이드 (UFW, iptables, firewalld 예제 포함) (0) | 2025.04.07 |
리눅스 네트워크 설정 및 관리 (0) | 2025.04.03 |
리눅스 디스크 용량 관리 (df, du, lsof, fstab 설정) (0) | 2025.04.02 |
리눅스에서 파티션 관리하기: fdisk, parted, mkfs, mount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