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리눅스(CentOS)

리눅스에서 파티션 관리하기: fdisk, parted, mkfs, mount

by 마루의 일상 2025. 4. 2.
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저장장치를 관리하려면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설정한 후, 마운트해야 합니다. 여기서는 fdisk, parted, mkfs, mount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저장장치 확인하기

먼저 현재 연결된 디스크 정보를 확인합니다.

lsblk

또는

fdisk -l

출력 예시:

Disk /dev/sda: 500 GiB, 536870912000 bytes, 1048576000 sectors
Disk /dev/sdb: 100 GiB, 107374182400 bytes, 209715200 sectors

여기서 /dev/sdb가 새롭게 추가된 디스크라고 가정합니다.


2. fdisk로 MBR 파티션 생성하기

fdisk를 사용하여 /dev/sdb에 새로운 파티션을 만듭니다.

sudo fdisk /dev/sdb

2.1 새 파티션 추가

명령 모드에서 다음을 입력합니다.

  • n → 새 파티션 생성
  • p → 기본(primary) 파티션 선택
  • 파티션 번호 선택 (1 입력)
  • 시작 섹터 및 크기 지정 (+50G 입력하면 50GB 크기의 파티션 생성)

2.2 변경 사항 저장

  • w → 변경 사항을 저장하고 종료

3. parted로 GPT 파티션 생성하기

GPT 방식으로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parted를 사용합니다.

sudo parted /dev/sdb

3.1 디스크 초기화 (GPT 설정)

mklabel gpt

3.2 새 파티션 생성 (100GB)

mkpart primary ext4 0% 100G

3.3 종료

quit

4. 파일 시스템 생성하기 (mkfs)

새롭게 만든 /dev/sdb1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합니다.

sudo mkfs.ext4 /dev/sdb1

다른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려면 다음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 XFS: sudo mkfs.xfs /dev/sdb1
  • FAT32: sudo mkfs.vfat -F 32 /dev/sdb1
  • NTFS: sudo mkfs.ntfs /dev/sdb1

5. 마운트하기 (mount)

파티션을 사용할 수 있도록 마운트합니다.

sudo mkdir -p /mnt/newdisk
sudo mount /dev/sdb1 /mnt/newdisk

5.1 마운트 확인

df -h

출력 예시: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b1       98G   1G   97G   1%  /mnt/newdisk

5.2 부팅 시 자동 마운트 설정 (/etc/fstab)

UUID를 확인한 후 /etc/fstab에 추가합니다.

blkid /dev/sdb1

출력 예시:

/dev/sdb1: UUID="1234-5678-ABCD" TYPE="ext4"

/etc/fstab 파일을 편집합니다.

sudo nano /etc/fstab

다음 내용을 추가합니다.

UUID=1234-5678-ABCD /mnt/newdisk ext4 defaults 0 2

이제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됩니다.


마무리

위 과정을 따라 하면 리눅스에서 새로운 디스크를 추가하고, 파티션을 생성하고, 파일 시스템을 설정한 후 마운트까지 완료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서버나 개인 PC의 저장 공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