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영체제/리눅스(CentOS)

리눅스 디스크 용량 관리 (df, du, lsof, fstab 설정)

by 마루의 일상 2025. 4. 2.
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서버 운영과 유지보수에서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df, du, lsof, fstab 등의 명령어를 활용하여 디스크 용량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df 명령어: 디스크 사용량 확인하기

1.1 기본 사용법

df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별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df -h

출력 예제:

Filesystem      Size  Used Avail Use% Mounted on
/dev/sda1       100G   30G   70G  30% /
tmpfs           2.0G  1.0M  2.0G   1% /run
devtmpfs        1.9G     0  1.9G   0% /dev

1.2 특정 디렉터리의 디스크 사용량 확인

$ df -h /home

1.3 inode 사용량 확인

$ df -i

2. du 명령어: 디렉터리별 사용량 확인하기

2.1 특정 디렉터리의 크기 확인

$ du -sh /var/log

2.2 하위 디렉터리 포함하여 크기 확인

$ du -h --max-depth=1 /home

2.3 가장 큰 파일 찾기

$ du -ah /var | sort -rh | head -10

3. lsof 명령어: 열린 파일 확인하기

디스크가 꽉 찼는데 삭제한 파일이 여전히 공간을 차지하는 경우, 열린 파일을 확인해야 합니다.

3.1 삭제된 파일이 여전히 사용 중인지 확인

$ lsof | grep deleted

3.2 특정 디렉터리에서 열린 파일 찾기

$ lsof +D /var/log

4. fstab 설정: 파일 시스템 자동 마운트 관리

/etc/fstab 파일을 설정하면 부팅 시 자동으로 디스크를 마운트할 수 있습니다.

4.1 fstab 기본 형식

/dev/sdb1   /mnt/data   ext4    defaults    0 2

4.2 fstab 파일 편집

$ sudo nano /etc/fstab

설정 후 마운트 적용:

$ sudo mount -a

5. 디스크 용량 관리 팁

  • journalctl --vacuum-size=500M : 로그 정리
  • apt-get clean && apt-get autoremove : 패키지 캐시 삭제
  • find / -type f -size +100M : 100MB 이상 파일 찾기

이제 리눅스에서 디스크 용량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주요 명령어와 설정을 익혔습니다. 이를 활용하여 서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세요!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