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리눅스(CentOS)51 리눅스 설치하기 (우분투, CentOS 등) 리눅스 설치는 생각보다 어렵지 않지만, 초보자라면 처음 시도할 때 막힐 수 있습니다. ✅ 준비물USB 메모리 (8GB 이상 권장)컴퓨터 또는 가상 머신 (VirtualBox, VMware 등)리눅스 ISO 파일 (우분투, CentOS 등)Rufus 또는 balenaEtcher (부팅 USB 만들기용 프로그램)📌 1. 리눅스 ISO 파일 다운로드우분투(Ubuntu)Ubuntu 공식 사이트 에서 다운로드합니다.가장 최신 버전 또는 LTS(Long Term Support) 버전을 선택합니다.CentOSCentOS Stream 공식 사이트 에서 다운로드합니다.CentOS 8 이후부터는 CentOS Stream으로 변경되었으니 참고하세요.📌 2. 부팅 USB 만들기방법 1: Rufus (Windows에서 사용.. 2025. 3. 19. 리눅스란 무엇인가? 리눅스(Linux)는 오픈 소스 운영 체제로, 유닉스(UNIX) 계열의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리눅스 커널을 중심으로 다양한 배포판이 존재하며, 주로 서버, 데스크톱, 임베디드 시스템, 슈퍼컴퓨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됩니다.리눅스의 역사리눅스는 1991년 핀란드의 컴퓨터 공학 학생이었던 리누스 토르발스(Linus Torvalds)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당시 리누스 토르발스는 MINIX라는 교육용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커널을 만들고자 했습니다.초기 개발 배경MINIX의 한계: 리누스 토르발스는 MINIX가 상용 목적이 아닌 교육용으로 제한된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느꼈습니다.GNU 프로젝트: 리차드 스톨만(Richard Stallman)의 GNU 프로젝트는 자유 소프트웨어.. 2025. 3. 16. 리눅스 시스템별 버전 확인 방법 리눅스를 사용하다 보면 현재 사용 중인 배포판 및 버전을 확인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호환성, 보안 업데이트, 문제 해결 등의 이유로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시스템의 배포판 및 버전을 확인하는 다양한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lsb_release 명령어 사용하기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는 lsb_release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는 LSB (Linux Standard Base) 정보를 출력해 줍니다.lsb_release -a 출력 예시:Distributor ID: UbuntuDescription: Ubuntu 20.04.2 LTSRelease: 20.04Codename: focal 이 명령어를 사.. 2024. 6. 20. 리눅스에서 폴더 용량을 큰 순서대로 나열 1. du 명령어du (disk usage) 명령어는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h (human-readable): 사람이 읽기 쉬운 형식(K, M, G 등)으로 출력합니다.--max-depth=N: 디렉토리의 깊이를 제한합니다. 예를 들어, --max-depth=1은 현재 디렉토리의 바로 하위 디렉토리들만 보여줍니다.2. sort 명령어sort 명령어는 텍스트를 정렬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로 사용하는 옵션은 다음과 같습니다:-h (human-numeric sort): 사람이 읽기 쉬운 숫자 형식으로 정렬합니다.-r (reverse): 내림차순으로 정렬합니다.사용 예시기본 사용법: 특정 디렉토리의 1단계 하위 폴더 용량을 큰 순서대로 나열du -h -.. 2024. 6. 18. 이전 1 ··· 5 6 7 8 9 10 11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