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98

리눅스에서 netstat 사용 시 "geteuid()=500 but you should be root" 경고 해결 방법 리눅스 서버에서 80, 443 포트의 연결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watch -n 1 "netstat -antp | grep ':80\|:443'"하지만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아래와 같은 경고 메시지가 출력됩니다.(No info could be read for "-p": geteuid()=500 but you should be root.)원인-p 옵션은 포트에 연결된 프로세스 정보를 출력하는 기능입니다. 이 정보는 root 권한이 있어야 확인 가능합니다. 일반 사용자로 실행하면 프로세스 정보를 조회할 수 없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경고가 출력됩니다.해결 방법1. sudo로 실행sudo watch -n 1 "netstat -antp | grep ':8.. 2025. 6. 18.
윈도우11 최적화 설정 TOP 10 (2025년 최신판) 윈도우11을 쓰다 보면, 부팅 속도가 느려지거나 앱 실행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이번 글에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윈도우11 최적화 설정 10가지를 정리해봤습니다.가정용, 업무용 PC 모두 적용 가능하며, 불필요한 기능을 꺼주는 방식으로 안전하게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1. 고성능 전원 설정으로 성능 높이기설정 방법:설정 > 시스템 > 전원 및 배터리 > 전원 모드에서 '최고 성능' 선택또는 제어판 > 전원 옵션 > 고성능으로 직접 설정2. 시작 프로그램 정리설정 방법:Ctrl + Shift + Esc 키로 작업 관리자 실행 → '시작 프로그램' 탭에서 불필요한 항목 '사용 안 함'3. 시각 효과 최소화설정 방법:제어판 > 시스템 > 고급 시스템 설정 > 성능 설정 > '최적 성능을 위해 조.. 2025. 6. 6.
리눅스 SELinux 보안 정책 관리하기 – booleans와 policies 설정 리눅스 SELinux 보안 정책 관리하기 – booleans와 policies 설정리눅스를 서버로 운영하다 보면 SELinux(Security-Enhanced Linux) 라는 보안 기능을 마주하게 됩니다. SELinux는 커널 수준의 접근 제어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잠재적인 보안 위협을 최소화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SELinux의 booleans와 policies 설정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운영 환경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예제를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SELinux란?SELinux는 미국 NSA와 Red Hat이 공동 개발한 강제 접근 제어(MAC)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리눅스는 사용자/그룹 기반의 자율 접근 제어(DAC) 방식인데 반해, SELinux는 파일, 프로세스, 포트 등 모든 객체에 .. 2025. 5. 24.
리눅스 가상화 기술 완벽 가이드 리눅스 가상화 기술 완벽 가이드KVM, VirtualBox, QEMU 상세 비교 및 사용법1. 가상화란 무엇인가요?가상화는 하나의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 위에 여러 개의 가상 시스템(가상 머신, VM)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운영체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자원들을 분리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시: 하나의 서버에서 여러 운영체제(예: Ubuntu, CentOS, Windows)를 동시에 구동 가능2. 주요 리눅스 가상화 기술2.1 KVM (Kernel-based Virtual Machine)KVM은 리눅스 커널에 내장된 가상화 기술입니다. 하드웨어 가상화를 이용하여 매우 높은 성능을 제공합니다.리눅스 커널 2.6.20 이상부터 기본 포함QEMU와 함께 사용되어 완전한 가.. 2025. 5. 10.
Docker Compose 사용법 완벽 가이드 🐳 Docker Compose 사용법 완벽 가이드 (yml 설정 파일 작성법 포함)Docker는 컨테이너 기반의 가상화 플랫폼으로, 여러 서비스를 동시에 실행할 때는 Docker Compose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합니다. 이 글에서는 Docker Compose의 개념부터 docker-compose.yml 작성법, 실전 예제까지 알아봅니다.📌 Docker Compose란?Docker Compose는 여러 개의 Docker 컨테이너를 정의하고, 한번에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입니다. 설정 파일 하나(docker-compose.yml)로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등 여러 컨테이너를 한꺼번에 관리할 수 있어, 개발환경 자동화에 매우 유용합니다.🛠️ Docker Compose 설치 방법Docker.. 2025. 5. 7.
리눅스에서 Docker 기초 완벽 가이드 리눅스에서 Docker 기초 완벽 가이드이 글은 리눅스 환경에서 Docker를 처음 접하는 분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설치부터 이미지 관리, 컨테이너 생성까지 단계별로 자세히 설명합니다.1. Docker란 무엇인가?Docker는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컨테이너 기반 가상화 플랫폼입니다. 운영체제 수준에서 가벼운 가상화를 제공하여 서버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2. 리눅스에 Docker 설치하기2.1 Ubuntu 기준 설치 방법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docker.iosudo systemctl start dockersudo systemctl enable docker2.2 CentOS 기준 설치 방법sudo yum instal.. 2025. 4.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