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리눅스에서는 다중 사용자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사용자 및 그룹 개념을 사용합니다. 이를 위해 useradd, usermod, userdel, groupadd 등의 명령어가 제공됩니다. 이 글에서는 각 명령어의 세부 사항과 실전 예제를 함께 설명합니다.
1. 사용자 관리
1.1 사용자 추가 (useradd)
새 사용자를 추가할 때는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기본 형식:
sudo useradd [옵션] 사용자이름
예제 1: 기본 설정으로 사용자 추가
sudo useradd testuser
이 명령어는 testuser라는 사용자를 기본 설정으로 생성합니다.
예제 2: 홈 디렉터리 생성과 기본 셸 지정
sudo useradd -m -s /bin/bash testuser2
옵션 설명:
- -m: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생성합니다.
- -s /bin/bash: 기본 셸을 /bin/bash로 지정합니다.
예제 3: 특정 사용자 ID(UID)와 그룹 ID(GID) 지정
sudo useradd -u 1050 -g 100 testuser3
- -u 1050: UID를 1050으로 설정
- -g 100: GID를 100으로 설정
1.2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passwd)
새 사용자에게 비밀번호를 설정하려면 passw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제:
sudo passwd testuser
이 명령어를 실행하면 새 비밀번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나타납니다.
1.3 사용자 정보 수정 (usermod)
사용자의 속성을 변경할 때 usermod를 사용합니다.
예제 1: 사용자 이름 변경
sudo usermod -l newuser testuser
- testuser의 이름을 newuser로 변경합니다.
예제 2: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 변경
sudo usermod -d /home/newhome -m testuser
- -d: 새 홈 디렉터리 경로 지정
- -m: 기존 데이터 이동
예제 3: 그룹 변경
sudo usermod -g developers testuser
- testuser의 기본 그룹을 developers로 변경
1.4 사용자 삭제 (userdel)
사용자를 삭제할 때는 userdel을 사용합니다.
예제 1: 사용자 계정 삭제 (홈 디렉터리 유지)
sudo userdel testuser
예제 2: 사용자 계정 및 홈 디렉터리 삭제
sudo userdel -r testuser
- -r: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까지 삭제
2. 그룹 관리
2.1 그룹 추가 (groupadd)
새 그룹을 생성하려면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예제 1: 기본 그룹 추가
sudo groupadd developers
예제 2: 특정 GID를 가진 그룹 추가
sudo groupadd -g 1050 managers
- -g 1050: GID를 1050으로 지정
2.2 그룹 수정 (groupmod)
기존 그룹의 속성을 변경하려면 groupmod를 사용합니다.
예제 1: 그룹 이름 변경
sudo groupmod -n newgroup developers
- developers 그룹의 이름을 newgroup으로 변경
2.3 그룹 삭제 (groupdel)
그룹을 삭제하려면 groupdel을 사용합니다.
예제:
sudo groupdel developers
이 명령어는 developers 그룹을 삭제합니다. 단, 그룹에 사용자가 남아 있으면 삭제할 수 없습니다.
2.4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 (usermod -aG)
기존 사용자에게 추가 그룹을 지정하려면 usermod -aG를 사용합니다.
예제 1: 사용자를 그룹에 추가
sudo usermod -aG developers testuser
- testuser를 developers 그룹에 추가 (기존 그룹 유지)
예제 2: 사용자의 추가 그룹 확인
groups testuser
또는
id testuser
3. 사용자 및 그룹 확인
3.1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 목록 확인
cat /etc/passwd
3.2 특정 사용자 정보 확인
id testuser
3.3 시스템의 모든 그룹 목록 확인
cat /etc/group
3.4 특정 그룹에 속한 사용자 확인
grep '^developers' /etc/group
4.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요약
명령어설명
useradd | 새 사용자 추가 |
usermod | 기존 사용자 정보 수정 |
userdel | 사용자 삭제 |
passwd |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 |
groupadd | 새 그룹 추가 |
groupmod | 기존 그룹 정보 수정 |
groupdel | 그룹 삭제 |
usermod -aG | 사용자를 추가 그룹에 포함 |
id | 사용자 및 그룹 정보 확인 |
cat /etc/passwd | 시스템의 모든 사용자 조회 |
cat /etc/group | 시스템의 모든 그룹 조회 |
이제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완벽히 이해하셨을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운영체제 > 리눅스(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기본 네트워크 명령어 정리 (0) | 2025.03.29 |
---|---|
리눅스 프로세스 관리 자세한 가이드 (0) | 2025.03.28 |
Linux에서 파일 압축 및 압축 해제 방법 총정리 (tar, zip, gzip, bzip2) (0) | 2025.03.26 |
리눅스 텍스트 파일 다루기 (cat, less, more, tail, head, grep) (0) | 2025.03.25 |
파일 권한과 소유권 설정 (chmod, chown, chgrp 사용법)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