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린이의 주식

2025년 6월 25일 한국 경제 뉴스 요약

마루의 일상 2025. 6. 25. 10:45
728x90
반응형

 

1. 코스피 3,100선 돌파 — 45개월 최고치 경신

전일 마감: 3,103.64 포인트, +2.96% 상승

외국인 매수세 주축으로 금융·반도체·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심 상승.

글로벌 지정학 리스크 완화(이스라엘·이란 휴전 기대)와 미국 증시 랠리가 양 시장 동반 상승을 유도.

수출·반도체·금융 주도에 힘입어 코스피는 장중 고점을 넘나드는 급등세. ‘위험자산 회복’ 흐름 속에서 투자심리도 뚜렷하게 개선되고 있습니다.

2. 한국은행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도입 점진적으로”

류상대 한국은행 부총재 “상업은행 중심 규제 체계 안에서 원화 스테이블코인 실험적 도입 바람직”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병행하는 새로운 디지털화폐 시스템 구축 계획 예고.

가계부채, 주택시장 등 금융 불안요소도 금융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 언급됨.

디지털 금융 혁신에 속도를 내는 한국은행. 향후 CBDC와 스테이블코인 병행모델 실험은 디지털 경제 전환의 전초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한·미 통상협상 진전 — “관세 면제 목표 조속 타결”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미국 상무·USTR와 회담 중. 자동차·철강 품목 관세 면제 추진.

미국 측도 새로운 자유무역협정(FTA) 협의 가능성 언급.

6월 22~27일 미국 방문 중으로, 이달 내 협의 타결 가능성 높음.

반도체에 이어 제조업·수출 품목의 관세 의제 해결 가능성은 중장기 수출 회복에 중요한 재료가 될 수 있습니다.

4. 7월 기업 체감 경기, 여전히 비관적

한국은행 또는 KDI 조사 결과, 제조업 중심 체감경기 하락세 지속.

글로벌 수요 둔화, 미중 무역 불확실성, 정책 동력 부족 등이 주요 이유로 지목됨.

반면 일부 혁신 산업(반도체·AI)에서는 지속적 투자와 수출 회복 기대 공존.

겉으로는 증시 호황 속에서도 실물 업황은 여전히 얼어붙어 있는 구조적 이중금융현상 지속. 이 격차가 정책 리스크 및 시장 과열 경고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5. MSCI 지수 재분류·단기 외환제도 개선 흐름

MSCI, 한국 단기 공매도 접근성 개선을 긍정적으로 평가.

이는 선진국 지수 등재 여부에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

환율·외환시장 개혁도 병행되며, 외국인 자본 유입 장벽 완화 기대.

코스피 랠리와 맞물려 MSCI 지수 상향 기대가 더해지면, 외국인 투자 확대에 긍정적인 구조적 모멘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의 키 포인트 요약

핵심 이슈 세부 내용
코스피 랠리 +2.96%, 3,100선 돌파 — 외국인·대형주 중심
디지털 화폐 혁신 원화 스테이블코인 단계적 도입 + CBDC 확대
관세 협상 진전 한·미 자동차·철강 관세 면제 추진
실물 경기 이중구조 체감경기 비관적 vs 반도체·디지털 산업 강세
자본 유입 여건 개선 MSCI 재분류 기대 + 외환시장 개혁

총평

오늘 한국 경제는 ‘자산시장 강세 + 실물경제 취약’이라는 이중 흐름 속에서, 디지털 금융 혁신과 통상 협력 진전이 향후 모멘텀 기반을 다지는 주요 체크 포인트가 되고 있습니다.

블로거로서, 증시·외환·통상·디지털화폐 4대 축을 중심으로 트렌드를 분석하며 지속적으로 시장 흐름을 포착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